티스토리 뷰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는 할리우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감독 중 한 명으로,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어 왔다. 그는 블록버스터 영화의 창시자로 평가받으며, 《죠스》(1975),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E.T.》(1982), 《쥬라기 공원》(1993) 같은 흥행 대작을 연출했다. 하지만 그의 영화에는 단순한 오락 요소를 넘어, 가족, 특히 부성애와 성장에 대한 깊은 주제의식이 담겨 있다.

스필버그 영화 속 가족 서사는 단순한 배경 설정이 아니라, 주인공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이번 글에서는 그의 영화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가족과 부성애의 주제를 분석하고, 그가 이를 어떻게 영화적 기법으로 풀어냈는지 살펴보겠다.


1. 스필버그 영화에서 반복되는 가족 서사의 특징

스필버그 영화에서 가족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표현된다.

  1. 부성애(아버지와 아이의 관계) – 《E.T.》, 《우주전쟁》, 《캐치 미 이프 유 캔》
  2. 가족의 부재와 재결합 – 《미지와의 조우》, 《A.I.》, 《후크》
  3. 모험과 성장의 과정에서 가족의 의미 찾기 –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쥬라기 공원》

이제 각각의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1) 부성애 – 아버지와 아이의 관계

스필버그 영화 속 아버지 캐릭터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 책임감 없는 아버지 → 결국 아이와의 관계를 회복하려고 노력함
  2. 아이를 끝까지 지키려는 헌신적인 아버지

《E.T.》(1982) – 아버지의 빈자리를 채우는 우정

  • 《E.T.》는 한 소년(엘리엇)과 외계 생명체(E.T.)의 우정을 그린 영화지만, 사실상 아버지가 없는 가정에서 성장하는 아이의 정서적 결핍을 다룬다.
  • 엘리엇의 아버지는 등장하지 않으며, 영화는 어머니와 아이들만 있는 상태에서 시작된다.
  • 아이는 외계인과의 교감을 통해 상실된 부성애를 대신 경험하고, 이를 통해 성장한다.

《우주전쟁》(2005) – 무책임한 아버지가 영웅이 되는 과정

  • 주인공(톰 크루즈)은 가족과 멀어진 무책임한 아버지로 등장한다.
  • 하지만 외계 침공 속에서 아이들을 지키면서 점점 책임감 있는 아버지로 변해간다.
  • 스필버그는 이를 통해 재난 속에서 가족을 지켜내는 부성애를 강조한다.

《캐치 미 이프 유 캔》(2002) –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아들

  • 이 영화는 실제 사기꾼 프랭크 애버그네일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 주인공(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은 부모의 이혼 후 아버지에 대한 애정을 갈망하며, 계속해서 새로운 인생을 살아간다.
  • FBI 요원(톰 행크스)이 점점 아버지 같은 존재가 되어가면서, 가족을 향한 주인공의 감정이 영화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 스필버그는 단순한 액션이나 모험을 넘어, 아버지와 아이 사이의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데 탁월한 감독이다.


2) 가족의 부재와 재결합 – 부모의 역할 탐구

스필버그 영화에서 종종 등장하는 설정 중 하나는 가족이 붕괴되거나 부모가 아이를 떠나는 상황이다. 하지만 주인공은 결국 새로운 방식으로 가족의 의미를 찾게 된다.

《미지와의 조우》(1977) – 외계인을 따라가는 아버지

  • 주인공(리처드 드레이퍼스)은 평범한 아버지였지만, 외계인과 접촉한 후 집을 떠나 우주로 가버린다.
  • 이는 스필버그가 어린 시절 아버지가 가정을 떠났던 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이야기다.

《A.I.》(2001) – 엄마를 찾는 인공지능 소년

  • 인공지능 로봇 소년이 자신을 버린 인간 엄마를 찾아 떠나는 이야기다.
  • 스필버그는 여기서 엄마에 대한 갈망과 인간이 가족을 대하는 방식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후크》(1991) – 아버지의 역할을 찾는 피터 팬

  • 영화에서 피터 팬은 어른이 되어 현실에 치이고, 아이들에게 소홀한 아버지가 된다.
  • 하지만 다시 네버랜드로 돌아가면서, 아이들에게 진정한 아버지가 되어가는 과정을 그린다.

➡️ 스필버그 영화 속 가족은 단순히 행복한 상태로 시작하지 않으며, 종종 갈등과 이별을 겪지만 결국 재결합과 성장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게 된다.


3) 모험과 성장의 과정에서 가족의 의미 찾기

스필버그 영화에서 모험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주인공이 가족의 의미를 깨닫고 성장하는 과정으로 작용한다.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 아버지와의 갈등과 화해

  • 《인디아나 존스: 최후의 성전》(1989)에서는 인디아나 존스와 그의 아버지(숀 코너리) 사이의 관계가 중요한 요소다.
  • 두 사람은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지만, 모험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화해한다.

《쥬라기 공원》(1993) – 보호자의 역할을 찾는 과정

  • 앨런 그랜트 박사는 아이들을 좋아하지 않지만, 쥬라기 공원에서 살아남는 과정에서 아이들을 보호하며 점점 아버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 이는 단순한 공룡 영화가 아니라, 가족과 보호자의 의미를 찾아가는 성장 이야기로 볼 수 있다.

➡️ 스필버그 영화 속 모험은 단순한 액션이 아니라, 주인공이 가족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는 과정이다.


스필버그 영화에서 가족은 단순한 설정이 아니다

스필버그 영화에서 가족은 단순한 배경 설정이 아니라, 주인공이 성장하고 변하는 핵심 요소다.

아버지와 아이의 관계를 탐구 – 《E.T.》, 《우주전쟁》, 《캐치 미 이프 유 캔》
가족의 부재와 재결합을 다룸 – 《미지와의 조우》, 《A.I.》, 《후크》
모험을 통해 가족의 의미를 찾음 –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 《쥬라기 공원》

이처럼 스필버그는 블록버스터 영화 속에서도 가족과 감정적인 요소를 깊이 있게 담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