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미국 드라마는 스토리뿐만 아니라 세세한 연출 속에도 숨겨진 비밀(이스터에그)이 많다. 이스터에그는 제작진이 시청자를 위해 넣어둔 작은 단서나 메시지로, 이를 발견하는 재미가 미국 드라마를 더욱 흥미롭게 만든다. 그렇다면, 인기 미드 속에는 어떤 이스터에그들이 숨겨져 있을까? 대표적인 작품들을 살펴보자.

 

1. 기묘한 이야기 (Stranger Things) 80년대 영화 오마주

 

넷플릭스의 인기 드라마 기묘한 이야기는 80년대 공포·SF 영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제작진은 곳곳에 영화 팬들을 위한 이스터에그를 숨겨 놓았다.

 

대표적인 이스터에그

 

드라마 속 아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자전거와 손전등 장면은 *E.T.*의 명장면을 오마주한 것.

시즌 1의 윌이 실종될 때 그의 집에서 흐르던 노래는 *더 클래시(The Clash)*Should I Stay or Should I Go?, 실제로 80년대 대표적인 곡.

 

데몰고르곤이라는 괴물의 이름은 던전 앤 드래곤(D&D) 게임에서 차용한 것.

 

2. 브레이킹 배드 (Breaking Bad) 색깔로 표현한 캐릭터 심리

 

브레이킹 배드는 단순한 범죄 드라마가 아니라, 디테일까지 신경 쓴 명작이다. 특히, 캐릭터의 심리 상태를 색깔로 표현하는 것이 이 드라마의 중요한 특징이다.

 

대표적인 이스터에그

 

월터 화이트는 초반에는 밝은 색 의상을 입지만, 범죄에 점점 빠질수록 어두운 색 옷을 입게 된다.

스카일러는 파란색 의상을 주로 입는데, 이는 그녀가 진실과 정직을 상징하는 캐릭터라는 의미.

제시 핑크맨은 위기 상황에서는 항상 빨간색 의상을 입으며, 그의 격정적인 감정을 나타낸다.

 

3. 왕좌의 게임 (Game of Thrones) 숨겨진 복선과 역사적 상징

 

왕좌의 게임은 방대한 세계관과 치밀한 설정으로 유명하다. 이 드라마에는 수많은 복선과 숨겨진 상징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이스터에그

시즌 1에서 네드 스타크가 바람에 흩날리는 나뭇잎을 바라보는 장면이 있다. 이는 그의 죽음을 암시하는 장면으로 해석된다.

철왕좌를 차지한 캐릭터들은 시즌 초반부터 해당 자리에 앉는 장면이 종종 등장했다. 이는 권력 싸움의 복선을 의미한다.

드라마 속 드래곤 이름은 실제 알렉산더 대왕의 말에서 따온 것으로, 역사적 의미를 부여했다.

 

4. 프렌즈 (Friends) 반복 등장하는 작은 디테일

 

미국 시트콤 프렌즈는 가벼운 코미디 같지만, 시청자가 눈치채기 어려운 디테일한 설정이 많다.

 

대표적인 이스터에그

 

모니카의 아파트 번호가 초반에는 5번이었지만, 이후 2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촬영장 세트 크기 조정 때문.

챈들러와 조이는 종종 *베이워치(Baywatch)*를 보는데, 실제 배우 데이비드 슈위머(로스 역)도 해당 시리즈를 좋아했다고 한다.

 

시리즈 내내 챈들러는 목이 올라오는 스웨터를 자주 입는데, 이는 그의 내성적인 성격을 표현하기 위한 디테일이다.

 

5. 더 오피스 (The Office) 다큐멘터리 설정 속 이스터에그

 

더 오피스는 가짜 다큐멘터리 스타일로 촬영된 미국 시트콤이다. 특유의 연출 덕분에 다양한 이스터에그가 숨겨져 있다.

 

대표적인 이스터에그

 

시즌 초반부터 등장한 카메라맨의 존재는 마지막 시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드와이트 슈루트의 농장은 실제로 제작진이 만든 세트장이 아니라 진짜 농장에서 촬영되었다.

 

시즌 중반부터 짐과 팸의 책상에는 결혼식 사진이 등장하며, 이는 시청자가 쉽게 놓칠 수 있는 감동적인 디테일이다.

 

6. 마블 시리즈 (Daredevil, Jessica Jones ) MCU와의 연결점

 

마블 시리즈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와 연결된 여러 이스터에그를 담고 있다.

 

대표적인 이스터에그

 

데어데블에서 뉴욕에 부서진 건물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어벤져스 뉴욕 전투 후의 결과를 나타낸다.

제시카 존스에서 루크 케이지가 운영하는 술집에는 “Alias Investigations”라는 간판이 있다. 이는 원작 만화 제목에서 따온 것.

 

퍼니셔에서는 스파이더맨 신문사인 *데일리 뷰글(Daily Bugle)*이 잠깐 등장하며, 마블 유니버스 내 연결고리를 암시한다.

 

이스터에그를 찾아보는 재미!

 

미국 드라마에는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제작진이 숨겨놓은 수많은 작은 단서들이 존재한다. 이를 발견하는 것이 드라마를 보는 또 다른 즐거움이 될 수 있다.

다음에 미국 드라마를 볼 때는 배경, 색상, 대사 하나하나를 유심히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숨겨진 이스터에그를 찾아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가 될 것이다